-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13)
CODE CAVE
안녕하세요! 이젠 개발자가 아니어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Git'이라는 개념, 혹시 아직도 낯설게 느껴지시나요? 아니면 '그냥 하면 되는 거 아니야?' 하고 넘어가셨던 분들도 계실 거예요. 저도 처음엔 그랬답니다! 😂 하지만 Git을 제대로 알고 나면 개발 협업이 얼마나 편해지는지 깨닫게 되는 순간이 옵니다. 왜 Git을 사용해야 할까?개발을 하다 보면 이런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열심히 코드를 짰는데, 갑자기 예전 버전으로 돌아가고 싶다거나, 다른 팀원과 함께 작업해야 하는데 코드가 꼬여서 멘붕이 온다거나... 😱 이럴 때 Git이 빛을 발합니다!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 VCS)'의 한 종류로, 코드의 변경 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해서 언제든..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딩 라이프를 한층 더 즐겁게 만들어 줄 아주 유용한 기술, 바로 '웹 스크래핑'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웹 스크래핑이라고 하면 뭔가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다고요? 하지만 파이썬의 requests 라이브러리만 있다면,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마치 내 것처럼 쓱싹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예전에 제가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였어요. 웹 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데이터를 일일이 손으로 복사해서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었죠. 생각만 해도 아찔하죠? ㅠㅠ 그때 requests 라이브러리를 처음 접하게 되었고, 마치 마법처럼 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가져오는 걸 보고 정말 깜짝 놀랐답니다! 그때부터 저의 코딩 생활은 한층 더 윤택해졌달까요? 여러분도 이 requests의 매력에 푹 빠지게 ..
최근 운영하던 웹 서비스에서 고객 문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대응에 많은 시간을 빼앗기고 있었습니다. 단순하고 반복적인 질문들이 주된 문제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동화 방안을 찾다가, ChatGPT API를 활용한 고객지원 챗봇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문제 상황과 고민서비스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비슷한 유형의 질문이 매일 수십 건씩 반복되었어요. 자주 묻는 질문 페이지(FAQ)를 만들어봤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개별 문의를 선호했습니다. 결국 반복적인 고객지원 업무로 핵심적인 서비스 개선 업무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ChatGPT API를 선택한 이유와 적용 사례처음엔 전통적인 챗봇도 고려했지만, 자연스러운 대화와 고객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했습니다. 특히 고객의 불만이나 복잡한 질문..
리스트를 숫자나 알파벳 순서가 아닌 특정 기준(길이 등)으로 정렬하는 방법입니다.# 리스트의 문자열을 길이 순서대로 정렬하는 방법my_list = ['apple', 'banana', 'kiwi', 'cherry']sorted_list = sorted(my_list, key=len)print(sorted_list) # ['kiwi', 'apple', 'banana', 'cherry'] 코드의 key=len이 문자열 길이를 기준으로 정렬해줍니다.

macOS에는 기본적으로 파이썬 2.7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최신 파이썬 프로젝트는 파이썬 3를 사용하므로, 파이썬 3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macOS에서 파이썬을 설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Homebrew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Homebrew를 사용하여 파이썬 3를 설치하는 단계입니다: Homebrew 설치 먼저 Home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터미널을 열고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Homebrew를 설치합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 업데이트 Homebrew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아..

안녕하세요, 1인 개발자 코드케이브 입니다. 오늘은 노코드 툴에 대해 정리를 해봤습니다. 제가 처음 개발을 시작한게 2009년인데요. 2010년 쯤에는 웹표준, DHTML이 유행했고, 하드코딩을 하는 작업 방법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당시에 노코드 툴이라고 하면 드림위버가 그나마 코딩 지식이 부족해도 빠르게 UI를 구성할 수 있었죠. 이후 2013년 쯤에는 하이브리드 앱이 뜨면서 HTML5, CSS3과 각종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로 웹과 앱을 동시에 만드는 개발 방법론이 유행했는데 당시에는 여러모로 성능이 좋지 않았고 이에따라 정말 간단한 앱이나 자금 여력이 거의 없는 소규모 스타트업이 채택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놀라울정도로 발전했고 WIX나 워드프레스를 넘어 별의별 노코드 툴이 생기고 있습니다. ..
저번 #1.3 포스팅에서 비교 연산자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오늘은 비교 연산자가 프로그래밍에서 왜 쓰이고 어떻게 쓰이는지 비교 연산자에게 의미를 부여 해줄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건문은 if와 switch가 있습니다. 일단 둘의 차이를 간략하게 집고만 넘어가볼게요. 일단 if와 switch는 언어의 내장 함수 입니다. 함수니까 if(), switch() 이런 식으로 적습니다. 함수는 () 안에 파라미터를 넘기도록 형태가 갖춰져있습니다.아직 함수에 대해 다룬 적은 없으니 함수는 그냥 어떤 일련의 "기능"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조건문이 없는 프로그램은 없기 때문에 조건문은 모든 언어에 다 있습니다.조금만 생각해보면 조건문이 없는 프로그램이 없다는 말이 이해가 되실겁..
저번 자바스크립트 이야기 #1.4 에서 비교 연산자에 대한 내용을 다뤘었습니다. 비교연산자는 어떤 두 값을 비교 합니다. 같은지, 다른지, 왼쪽이 오른쪽보다 큰지 혹은 크거나 같은지 말이죠.아니면 어떤 변수가 값이 할당 되어 있지 않거나 null 일 경우도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여 true 혹은 false 라는 둘 중 하나의 boolean 값을 얻게 되죠. 이런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여 나온 boolean 값은 어디에 사용 될까요?boolean 값이 사용 되는 곳은 바로 조건문 입니다. 실제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살펴 보죠.if(true){ console.log("this is true"); } if(false){ //아래 명령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console.log("this is not showing"..
자바스크립트는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합니다.즉, 자기가 원하는 어떤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는 것은 변수, 연산, 비교, 반복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변수는 값을 저장합니다.변수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 값의 종류는 여러개가 있습니다.숫자 값, 문자 값, 문자열 값,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내는 의미인 null(undefined)이 들어갈 수 있고, 변수에 변수를 대입 할 수도 있었죠. 위에 언급한 값 외에 다른 종류의 값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더 있을까요?네, 있습니다. 바로 bool 값이란게 존재하는데요~bool 형 변수는 true(참) 혹은 false(거짓) 이라..
이번에는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부분을 다뤄볼까 합니다. 본질 적인 질문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변수란 무엇 일까요?네,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하는 수" 입니다. 변하지 않는 숫자는 상수라고 하지요.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매우 매우 중요하고 어느 언어를 쓰더라도 변수는 무조건 배우게 되고 또 계속해서 쓰게 됩니다.그렇다면 왜 이렇게 중요하며 왜 무조건 써야 할까요? 먼저 변수는 어떤 데이터 값을 런타임 중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 되는 동안 계속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이 되어있죠.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어떤 사람의 나이값이 있다고 칩시다.제 나이가 25살이니까 25라는 값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25, 그냥 just 숫자 이십오 일 뿐입니다.하지만 이 값이 들어갈 공간을 만들고..